Home

2025년 10월 31일
검색
커뮤니티
자유게시판
취재제보
사이버 편집부
편집회의
기사쓰기
회원등록
예수프론트라인

예수칼럼:현대적 고전으로 읽히는 최장기 베스트 셀러!
4영리에 대하여 들어보셨습니까?
양치는소리:인터넷 선교원 후원이사 목사님들의 글모음
비전이야기:우리들의 이야기, 독자들로 부터의 글모음
선교마당:선교사로부터의 편지, 선교지소개 등 선교에 관한 글모음

각종 자료 연결
영원한 명시
박광택코너

교회-단체연결

Vision2000

김준곤 예화모음

박성민의 성서보기

경제전망대

천일웅 변호사 이민법 칼럼

인터넷이모저모




동아일보
전자신문
조선일보
중앙일보
미주중앙일보
한국일보
미주한국일보
한겨레신문
라디오서울USA
The New York Times



  • 하나님 없이 살 수 없다

    우리가 잘 아는 대로 어거스틴'의 (고백록)과 루소의 (참회록)과 톨스 토이의 (참회록)은 3대 참회록에 속하는 것입니다. 가장 진지한 인간들 의 고백입니다. 톨스토이의 (참회록)을 보면 톨스토이는 죽음의 문제 때 문에 잠을 이룰 수가 없었읍니다. 야스퍼스도 모든 불안의 근원에는 죽 음이 있다고 말했읍니다. 톨스토이는 죽음의 공포 때문에 많은 밤을 잠 을 자지 못했읍니다. 톨스토이는 그리스 정교의 가정에서 태어났고 거 기서 세례를 받았고 거기서 자라났읍니다. 유년 시절, 소년 시절, 청년 시절에 그는 신앙 교육을 줄곧 받아 왔읍니다. 러시아의 기독교 귀족으 로서 그는 철저한 신앙 분위기 속에서 자랐읍니다. 그러나 그는 18세 때 아무 것도 믿을 수가 없었읍니다. 그는 완전히 이교도가 되었읍니다. 합리주의의 물결이 밀려 올 때 특별히 정서가 다감했던 톨스토이가 그 리스 정교의 신앙을 그대로 지키기에는 너무도 허탈했을 것입니다. 18 세 때부터 교회도 기도도 다 졸업해 버렸읍니다. 신앙을 버린 후에 그 에게 한가지 새 신앙이 생겼는데, 그것은 인간이 자기의 힘으로 노력하 면 완전 상태에 이른다는 인간 완성의 신조와,세계와 인류는 진화해서 무한히 발전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이었읍니다. 합리주의와 인문주의가 지니고 있는 르네상스의 휴머니즘을 그대로 신봉했읍니다.

    톨스토이는 이런 인간을 중심으로 하는 사조 속에 얼마 동안 살다가 '나는 공포심과 혐오감과 마음 아픈 것으로 꽈 차 있었다. '는 말을 했 읍니다. 또 그는 '나는 전쟁 때 많은 살인을 했고 어떤 사람에게 결투 를 걸기도 했고 도박을 하기도 했고 농노들을 착취하고 농노들을 처형 하고 농노들을 희롱했고 사기도 했고 간통도 했고 훔치기도 했고 폭행 도 했고 살인도 했다. 내가 범하지 않은 죄가 하나도 없다. 아 ! 나는 죄를 많이 법한 사람이다. 그런데 친구들은 나를 도덕적인 인간이라고 생각하고 있다. '라고 참회했읍니다.

    그러다 그는 그의 형님이 죽은 것을 보았읍니다. 파리에 갔을 때는 많은 사형수들이 죽은 것을 보았읍니다. 그리고 그가 말하기를 내게 있 어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죽음이라고 했읍니다. 그 죽음의 공포 때문에 그는 인간의 가장 실존적인 기본 문제가 되는 죽음을 중심으로 다시 한 번 인간을 죄에서 캐 보기 위해 과학을 다른 각도에서 밀고 나가 보기 도 하고 철학적인 사고 방식을 진지하게 생각해 보기도 하고 상식에 물 어 보기도 했읍니다. 모든 각도에서 자기가 가지고 있는 인문 지식의 모든 것을 총동원해서 이 문제의 해답을 구하려고 했으나 아무 데서도 그 해답을 구할 수가 없었읍니다. 기독교의 신학이나 교리나 의식에서 도 해답을 구할 수가 없었읍니다. 그러다 그는 마침내 소박한 농민과 서민층에 살아 있는 원시적인 복음 신앙 가운데서 그 답을 얻었읍니다. 그러면서 그는 마지막으로 하나님이 없이는 살 수가 없다고 말했읍니다. 톨스토이가 깨달은 것은 하나님이 없이는 살 수가 없다는 것이었읍니다.

    (롬 14 7. 8)


    보내기